본문 바로가기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전월세 신고제' 파헤치기 (+대상, 계도기간, 방법)

재테크 노마드 2025. 4. 13.

오늘은 부동산 임대차 시장에서 꽤 중요한 변화를 앞두고 있는 ‘전월세 신고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혹시 "신고 안 해도 과태료 안 물었잖아?"라고 생각하셨다면,
이제는 상황이 다릅니다.
무려 4년간 이어졌던 계도기간이 드디어 끝나고,
2025년 6월부터는 과태료가 본격적으로 부과됩니다.

저도 처음엔 ‘이거 뭐 그냥 보여주기 정책 아니야?’ 했었는데요,
하나하나 뜯어보니 생각보다 중요한 제도더라고요.
왜 그런지, 지금부터 천천히 알려드릴게요!


✅ 전월세 신고제란? (정의와 적용 대상)

전월세신고제-국토부자료
출처: 국토교통부

간단히 말해서, 일정 금액 이상의 전월세 계약은 지자체에 신고해야 한다는 제도입니다.
계약 후 30일 안에 임대인과 임차인이 함께, 또는 한 쪽이 대신 신고할 수 있고요.

구분 신고 대상 기준
보증금 기준 6,000만 원 초과
월세 기준 30만 원 초과
신고 기한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 장소 주민센터 or 부동산거래신고시스템
과태료 최대 100만 원 (단순 지연 시 30만 원 이하)

📌 수도권에서는 거의 모든 임대차 계약이 대상이라고 봐도 무방해요.
서울에서 보증금 6천만 원 미만 찾는 게 더 어려운 상황이니까요.


💡 왜 전월세 신고제를 시행하나요?

 

 

처음엔 솔직히 저도 이런 생각했어요.

“정부가 또 뭘 통제하려고 하나?”

하지만 조금 더 들여다보니 임차인 보호와 세입자 권리 강화를 위한 취지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 시행 목적은 다음과 같아요.

  • 전월세 시장의 투명성 확보
  • 실거래가 공개로 정보 비대칭 해소
  • 임차인 보호(확정일자 자동 부여)

✍️ 예전에 원룸 계약할 때 확정일자 챙기려 주민센터 가는 게 은근 귀찮고 까다롭더라고요.
근데 이제는 신고만 하면 자동으로 확정일자까지 처리되니,
진짜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 계도기간 종료! 2025년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전월세 신고제는 2021년 6월부터 시행됐지만,
그동안은 말 그대로 “과태료 없이 연습기간”이었죠.
1년 유예, 그 후 2번의 계도기간 연장으로 총 4년이 흘렀습니다.

이제는 국토교통부도 "이 정도면 충분히 익숙해졌겠지?" 하는 판단을 내린 겁니다.
그래서 5월 31일 계도기간 종료 → 6월부터 과태료 정식 부과로 확정될 가능성이 높아요.


💸 과태료 기준 정리 (2024년 개정 내용 포함)

 

 

기존에는 최고 100만 원까지 과태료가 나올 수 있었는데요,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단순 지연 신고는 최대 30만 원으로 낮췄습니다.
하지만 허위 신고는 여전히 100만 원 유지! 

유형 기존 과태료 2025년부터 변경 내용
지연 신고 4만 원 ~ 100만 원 2만 원 ~ 30만 원
허위·거짓 신고 최대 100만 원 변경 없음 (유지)
  • 보증금 1억, 신고 안 하고 3개월 지나면? → 예전엔 60~70만 원, 이제는 20~30만 원
  • 신고 안 하고 있다가 걸리면? “나 몰랐어요”는 이제 변명이 안 됩니다!

📲 어디서 어떻게 신고하나요?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전월세신고-화면
출처: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신고 방법도 아주 간단합니다.

📌 팁 하나!
국토부는 신고율을 높이기 위해 '자동 알림톡 시스템'도 준비 중이에요.
예를 들어, 임차인이 확정일자만 신청했는데 전월세 신고를 안 하면,
“신고 대상입니다”라는 문자를 보내주는 기능이죠.


🔐 전월세 신고하면 뭐가 좋은가요? (임차인 입장)

신고를 하면 자동으로 확정일자가 부여되기 때문에,
보증금을 법적으로 보호받는 효과가 생깁니다.

그리고 중요한 건 이거예요.

“임대차 분쟁이 생겼을 때 법적으로 보호받으려면
확정일자 있는 계약서가 있어야 한다”는 거.

그런데 이제는 따로 확정일자 받으러 가지 않아도
신고만 하면 끝!

🧑‍⚖️ 앞으로는 임차인 보호의 핵심 무기가 ‘신고 여부’가 될 것 같아요.
신고 안 하고 나중에 문제 생기면, 진짜 억울한 상황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요약 정리 – 전월세 신고제 핵심만 쏙!

항목 내용
시행 시기 2025년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유예 종료)
신고 대상 보증금 6천만 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 원 초과
신고 기한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신고 장소 주민센터 or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과태료 기준 지연 신고 시 최대 30만 원, 거짓 신고는 100만 원
확정일자 자동 부여 신고만 하면 자동 처리됨

🔚 마무리하며 – 신고제, 번거롭다는 생각 버리세요

솔직히 제일 처음에는 “정부가 왜 이런 걸까지 시키지?” 싶었어요.
하지만 지금은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신고제가 임대차 거래에서 임차인의 권리를 지켜주는 거의 유일한 장치일 수도 있다는 걸 알게 됐거든요.

제 생각엔, 이 제도는 단지 ‘불편함’보다 ‘보호받는 이득’이 훨씬 크다고 봐요.
특히 사회 초년생이나 전세가 처음인 분들일수록, 꼭 이 제도 알고 계셔야 합니다.

📣 6월부터는 과태료 나옵니다!
“몰랐어요”라는 말로는 해결이 안 돼요.
지금이라도 미리미리 체크해두시고, 중요한 전월세 계약은 꼭! 신고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