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신고제, 기존 계약도 신고해야 할까? 헷갈리는 포인트 확실히 정리해드립니다!
“2025년 6월부터 전월세신고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된다고 하던데…
혹시 예전에 맺은 계약도 신고해야 하나요?”
이런 질문, 요즘 정말 많이 들어요.
실제로 저도 이 부분이 궁금해서 관련 자료를 하나하나 찾아봤고, 오늘 그걸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기존 계약 신고 의무”, 딱 깔끔하게 알려드립니다!
🔍 전월세신고제, 기본 개념부터 다시 확인!
혹시 전월세신고제 처음 듣는 분들도 계실 수 있어서 간단히 짚고 갈게요.
구분 | 내용 |
시행 시점 | 2021년 6월 1일 (계도기간 종료는 2025년 5월 31일 예정) |
신고 의무 대상 | 보증금 6,000만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원 초과 계약 |
신고 기한 |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
신고 주체 | 임대인과 임차인 공동 (실제로는 보통 임대인이 주도) |
신고 방법 | 주민센터 방문 또는 ‘부동산거래관리시스템’ 온라인 접수 |
❓ 기존 계약도 신고 대상일까?
이게 많은 분들이 가장 혼란스러워하는 부분인데요, 정답 먼저 말씀드리면 이렇습니다.
✅ 신고 대상인 기존 계약
- 2021년 6월 1일 이후 체결된 전월세 계약
- 보증금이 6천만원 초과하거나, 월세가 30만원 초과하는 경우
📌 예시:
만약 2022년 3월에 보증금 1억, 월세 50만 원으로 계약했어요.
이건 전형적인 신고 대상입니다.
그리고 아직도 신고 안 했다면? 6월부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어요.
❌ 신고 대상이 아닌 계약
- 2021년 5월 31일 이전에 체결된 계약은
원칙적으로 신고 의무가 없습니다.
다만 여기서 하나 주의하셔야 할 점!
🔁 갱신 계약, 신고 대상일까?
이 부분도 정말 중요해요.
단순히 같은 조건으로 연장한 건 괜찮겠지~? 라고 생각하시면 큰 오산입니다.
✔️ 갱신 계약도 신고 대상이 되는 경우
- 계약 기간을 연장하면서
보증금이나 월세가 변경된 경우는
무조건 다시 신고해야 합니다.
📢 제 생각에는 이게 가장 많은 분들이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이에요.
임대인과 그냥 “그대로 연장하자” 하고 구두로만 한 경우,
실제 금액은 달라졌는데 신고를 누락하면 과태료가 나올 수 있어요.
📌 한눈에 보는 신고 대상 여부 정리표
계약 시점 | 금액 조건 | 계약 형태 | 신고 대상 여부 |
2021년 5월 이전 | 무관 | 신규 계약 | ❌ 신고 의무 없음 |
2021년 6월 이후 | 보증금 6천↑ or 월세 30↑ | 신규 계약 | ✅ 신고 대상 |
2021년 6월 이후 | 보증금 6천↓ & 월세 30↓ | 신규 계약 | ❌ 신고 대상 아님 |
갱신 계약 | 금액 조건 동일 | 연장 계약 | ❌ 신고 생략 가능 |
갱신 계약 | 보증금 또는 월세 변경 | 연장 계약 | ✅ 반드시 신고 |
🧩 팁: 신고 안 하면 무조건 과태료일까?
💡 현재까지는 계도기간이라 실질적인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았지만,
2025년 6월부터는 유예기간이 끝나고 정식으로 과태료 부과가 시작됩니다.
- 지연 신고 → 최대 30만 원 (기존 100만 원에서 하향 조정됨)
- 허위 신고 → 여전히 최대 100만 원
단순히 까먹거나 누락한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이런 실수로도 과태료 대상이 되기 때문에,
꼭 미리미리 신고하는 게 안전합니다.
💬 마무리하며 – 제 생각은요…
저는 전월세신고제가 임차인을 보호하는 기본 장치라고 생각해요.
특히 자동으로 확정일자 부여가 되니까,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는 좋은 제도라고 봅니다.
다만 현실적으로는
"기존 계약이 대상인지, 갱신도 신고해야 하는지"
이런 부분이 너무 헷갈리게 되어 있는 건 아쉬워요.
그래서 앞으로는
계약할 때 무조건 신고 먼저!
갱신할 때 금액이 바뀌면 무조건 다시 확인!
이 두 가지만 기억하시면 정말 좋을 것 같아요.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전월세 신고제' 파헤치기 (+대상, 계도기간, 방법)
오늘은 부동산 임대차 시장에서 꽤 중요한 변화를 앞두고 있는 ‘전월세 신고제’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혹시 "신고 안 해도 과태료 안 물었잖아?"라고 생각하셨다면,이제는 상황이 다릅
moneytracknow.com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앱테크 한다면? 팔라고 vs 니콘내콘 비교 분석! (개인 경험 + 꿀팁까지✨) (0) | 2025.04.16 |
---|---|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최대 40만 원 지원받는 방법! (0) | 2025.04.14 |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전월세 신고제' 파헤치기 (+대상, 계도기간, 방법) (0) | 2025.04.13 |
2025 국가장학금 구간별 지원금액 총정리! 기준, 계산방법까지 한번에 끝내기 (0) | 2025.04.11 |
묵시적 갱신 해지 통보했는데, 마음이 바뀌었어요… 철회할 수 있을까요? (0) | 2025.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