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가장학금 구간별 지원금액 총정리! 기준, 계산방법까지 한번에 끝내기
여러분, “대학 등록금 너무 비싸다…”라는 말, 한 번쯤은 해보셨죠?
저도 대학 다닐 때 등록금 고지서 볼 때마다 눈물이 찔끔 났던 기억이 생생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은 대학생들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국가장학금’에 대해
완전! 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실제 신청 시 실수하지 않도록 도와드릴게요.
🎓 국가장학금이란? 그냥 받는 장학금이 아닙니다!
국가장학금은 단순히 “성적 좋으면 주는 장학금”이 아닙니다.
정확히 말하면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등록금을 차등 지원하는 제도예요.
항목 | 내용 |
주관기관 | 한국장학재단 |
지원유형 | Ⅰ유형(일반지원), 다자녀 유형 |
대상 | 국내 대학 재학생 중 ‘학자금 지원 9구간 이하’ + 성적 기준 충족자 |
신청 방식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
소득기준 산정 방식 | 사회보장정보시스템 기반 가구 소득·재산·부채 등 종합 고려 |
국가장학금은 단순히 돈을 받는 수단이 아니라, 학비 걱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는 삶의 질 회복 프로젝트라고 생각해요.
장학금 덕분에 방학 때 알바 안 하고 전공 공부에 집중할 수 있다고 이야기하는 분들이 많아요.
💰 구간별 국가장학금 지원금액 (2025년 기준)
2025년에는 소득구간에 따라 아래와 같은 금액이 지원됩니다.
여러분의 소득구간을 파악한 후, 지원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미리 체크해보세요!
📌 I유형 지원금액
소득구간 | 지원금액 (학기당) |
기초/차상위 | 전액 (최대 390만 원 수준) |
1~3구간 | 285만 원 |
4~6구간 | 210만 원 |
7~8구간 | 175만 원 |
9구간 | 50만 원 |
👨👩👧 다자녀 가정의 경우
자녀 수 | 소득구간 | 지원금액 |
첫째/둘째 | 1~3구간 | 285만 원 |
4~6구간 | 240만 원 | |
7~8구간 | 225만 원 | |
셋째 이상 | 전 구간 | 전액 지원 또는 100만 원 이상 |
💡 제 팁은요!
"우리 집 셋째인데 국가장학금 지원 안 될까?" 하는 친구가 있었는데요,
다자녀 장학금은 꼭 ‘미혼 상태’여야 하고, 입학 당시 만 39세 이하여야 한다는 조건이 있어요!
이 조건 하나 때문에 탈락하는 경우도 꽤 많으니 꼭 확인하세요!
📊 소득구간 계산 기준 (2025년 기준)
소득구간이 어떻게 정해지는지 궁금하셨죠?
아래 표로 기준중위소득 대비 구간을 한눈에 정리해봤어요.
구간 | 월 소득인정액 기준 | 기준중위소득 대비 |
1구간 | ~1,829,332원 | 30% 이하 |
2구간 | ~3,048,887원 | 50% 이하 |
3구간 | ~4,268,441원 | 70% 이하 |
4구간 | ~5,487,996원 | 90% 이하 |
5구간 | ~6,097,773원 | 100% 이하 |
6구간 | ~7,927,105원 | 130% 이하 |
7구간 | ~9,146,660원 | 150% 이하 |
8구간 | ~12,195,546원 | 200% 이하 |
9구간 | ~18,293,319원 | 300% 이하 |
10구간 | 18,293,319원 초과 | - |
📌 소득인정액이란?
월 소득 + 재산 환산액 – 부채 = 소득인정액
즉, 단순히 월급만 보는 게 아니라 집, 차, 예금까지 다 본다는 거예요.
모의계산기로 소득구간을 미리 확인해보는 게 정말 중요해요.
재산 부분이 생각보다 많이 반영돼서 구간이 1단계 더 올라간 분들이 많더라고요.
📚 성적 기준, 놓치면 지원금도 날아갑니다!
국가장학금은 ‘공짜 돈’이 아닙니다.
성적 기준을 충족하지 않으면, 구간이 아무리 낮아도 탈락합니다.
대상 | 성적 기준 | 이수학점 기준 |
신입/편입/재입학 | 미적용 | 미적용 |
재학생(기초~3분위) | 백분위 70점 이상 | 9학점 이상 이수 |
재학생(4~8분위) | 백분위 80점 이상 | 12학점 이상 이수 |
장애인 | 성적기준 적용 안 됨 | 이수학점 기준도 면제 |
✅ 성적은 F학점 포함, 수강포기 과목 제외한 백분위 기준으로 계산
✅ 경고제도: 성적 기준 미달 시, 최대 2회까지 경고 후 지원 유지 가능
정말 한 과목 때문에 F학점 받고 수십만 원을 날리는 일이 생길 수 있으니 꼭! 주의하세요.
📝 신청 시기와 절차는?
한국장학재단
www.kosaf.go.kr
신청은 매년 상·하반기 두 번!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에서 직접 신청해야 하며, 가구원 동의와 서류 제출까지 마쳐야 접수가 완료됩니다.
📌 신청 필수 항목 체크리스트:
- 한국장학재단 홈페이지 접속
- 본인 및 가구원 정보 등록
- 가구원 동의 (공동인증서 필요)
- 필요 서류 업로드
💡 놓치기 쉬운 팁!
형제자매가 동시에 대학을 다니는 경우, 각각 따로 신청해야 해요!
부모님 한 분만 동의해도 되냐는 질문 많은데, 반드시 부모 모두 동의해야 합니다.
✅ 마무리하며, 국가장학금은 “내 미래를 위한 투자”
국가장학금은 단순히 학비를 지원받는 제도가 아닙니다.
그보다 더 중요한 건, 대학 생활에서 경제적 부담을 덜고 내 커리어에 집중할 수 있게 해주는 토대라는 점이에요.
국가장학금은 누가 대신 챙겨주는 게 아니라,
내가 주도적으로 정보를 찾아보고, 준비하고, 신청해야만 받을 수 있는 제도입니다.
이 글을 보신 여러분만큼은 절대 놓치지 마시고, 꼭 혜택 받으시길 바랄게요!
'금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월세신고제, 기존 계약도 신고해야 할까? 헷갈리는 포인트 확실히 정리해드립니다! (0) | 2025.04.13 |
---|---|
6월부터 과태료 부과 시작! '전월세 신고제' 파헤치기 (+대상, 계도기간, 방법) (0) | 2025.04.13 |
묵시적 갱신 해지 통보했는데, 마음이 바뀌었어요… 철회할 수 있을까요? (0) | 2025.04.09 |
재취업활동 인정서류 뭐가 필요할까? 실업급여 받는 꿀팁 공개 (0) | 2025.04.08 |
청년이라면 무조건 알아야 할 2025 LH 청년매입임대주택 신청조건 총정리! (0) | 2025.04.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