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민연금 유예 취소, 이렇게 하면 됩니다! (ft. 추납)

재테크 노마드 2025. 3. 28.

국민연금은 우리가 미래를 대비하는 중요한 자산이지만, 경제적인 사정으로 인해 납부가 어려울 때도 있죠.
이럴 때 국민연금 납부 예외(유예) 신청을 통해 한시적으로 보험료 납부를 중단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 상황이 나아지면 다시 납부를 재개하고 싶은 경우가 생깁니다.
"국민연금 유예를 취소하고 다시 납부할 수 있을까?"
네, 가능합니다! 방법도 어렵지 않아요.

오늘은 국민연금 유예 취소(납부 재개) 방법과 주의할 점, 그리고 꼭 알아둬야 할 팁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국민연금 유예 취소, 이렇게 하면 됩니다!

국민연금 유예를 취소하려면 국민연금공단에 ‘납부 재개’ 신고를 하면 됩니다.
방법은 크게 3가지예요.

방법 상세 설명
온라인 신청 국민연금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내곁에 국민연금)에서 신고
전화 신청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1355) 또는 관할 지사에 전화
방문 신청 가까운 국민연금공단 지사 방문 후 신청

📌 꿀팁:
직접 해보니 전화 신청이 가장 빠릅니다.
고객센터보다는 관할 지사로 바로 전화하는 게 대기 시간이 짧아요!

 

국민연금공단 : 지사찾기

 

www.nps.or.kr

 

📌 모바일 앱 ‘내곁에 국민연금’ 다운로드

 

내 곁에 국민연금 - Google Play 앱

새 단장한 국민연금 모바일 앱에서는 예상연금액 조회 및 연금업무를 언제 어디서나이용할 수 있습니다.(Android : 5.0 이상)

play.google.com

 

 

‎내 곁에 국민연금

‎본 앱은 대한민국 국민을 위해 다양한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모든 국민을 보호하여 빈곤을 해소하고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보장제도 중 하나인 "국민연금"의 대국민 전용 앱입

apps.apple.com

 

📢 유예 취소 후 언제부터 납부할까?

납부 재개 신고를 하면 다음 달부터 보험료가 자동으로 청구됩니다.
즉, 오늘 신고하면 다음 달부터 국민연금을 다시 내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하세요!


✅ 유예 기간 동안 못 낸 돈, 다시 납부할 수 있을까? (추납 제도 활용)

국민연금-추납이유
출처: 국민연금공단

 

 

"예전에 못 냈던 국민연금도 다시 납부할 수 있나요?"
네, 가능합니다! 이걸 ‘추납’이라고 해요.

✔ 추납이란?
경제적 어려움(실직, 폐업 등)으로 납부하지 못했던 국민연금 보험료를 나중에 다시 낼 수 있도록 허용하는 제도입니다.
추납을 하면 가입 기간이 늘어나고, 받을 수 있는 연금액도 커지는 장점이 있어요.

📌 추납 보험료 계산 공식

추납보험료 = 신청 당시 연금보험료 × 추납할 개월 수

💡 예시

  • 2024년 7월 기준 연금보험료: 월 40만 원
  • 2023년 1월~2024년 6월(18개월) 동안 납부 예외 적용
  • 추납 금액 = 40만 원 × 18개월 = 720만 원

📌 추납을 하면 연금 수령액이 늘어나긴 하지만, 한 번에 큰돈을 내야 한다는 부담도 있습니다.
그래서 가급적 연금보험료가 낮을 때 추납하는 것이 유리해요!

 

국민연금 추납금액 계산방법 및 효과적인 납부전략

안녕하세요! 오늘은 국민연금 추납금에 대해 알아볼 건데요. 노후를 대비하려면 연금을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가 정말 중요하죠? 그런데 과거에 납부하지 못한 기간이 있거나, 연금 수령액이 적

moneytracknow.com

 


✅ 국민연금 유예 취소 시 주의할 점 (이거 모르고 하면 손해!)

 

 

1️⃣ 유예를 취소하면, 이전처럼 자동으로 청구됨
→ "일단 유예 취소만 해두고, 납부 시기를 조정할 수 있을까?"
❌ 아닙니다! 유예를 취소하면 바로 다음 달부터 보험료가 부과됩니다.

2️⃣ 예전에 못 낸 보험료는 ‘추납 신청’을 따로 해야 함
→ 유예 취소했다고 해서 과거의 미납 기간이 자동으로 복구되는 건 아닙니다.
추납 신청을 따로 해야 가입 기간이 인정됩니다.

3️⃣ 가입 기간이 길수록 나중에 받는 연금이 많아짐
→ 국민연금은 가입 기간이 길어질수록 연금액이 증가하는 구조예요.
그래서 가능하면 추납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납부 예외 신청 후 바로 가입 재개하면 ‘첫 달 보험료’가 절약됨
→ 예를 들어, 7월에 납부 재개하면 7월 보험료는 내야 하지만
6월 말에 재개하면 7월 보험료는 건너뛸 수 있습니다.


✅ 국민연금 유예 취소, 정리하면?

내용 설명
유예 취소 방법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 모바일 앱, 전화 또는 방문 신청
언제부터 납부? 신고한 다음 달부터 자동 청구
미납 기간 복구? ‘추납 신청’을 해야 가능
추납 보험료 계산법 신청 당시 연금보험료 × 미납 개월 수
주의할 점 납부 예외 후 재개 시 첫 달 보험료 절약 가능!

✅ 마무리하며…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국민연금 유예는 일시적으로 경제적 부담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지만,
오랜 기간 유예하면 나중에 받을 연금액이 줄어들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제 생각에는…
가능하면 너무 오래 유예하지 말고, 경제적 여유가 생길 때 빠르게 납부 재개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봅니다.
또한, 추납을 활용하면 연금 수령액을 늘릴 수 있으니 추납 제도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좋은 전략이에요!

 지금 국민연금 유예를 취소하고 싶다면?
👉 바로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신청해보세요! 바로가기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 국민연금공단 고객센터(1355) 또는 관할 지사에 전화해 보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