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족연금 금액 계산법: 쉽게 이해하는 방법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했을 때 남은 가족에게 지급되는 중요한 사회보장제도입니다.
하지만 연금 계산 방식이 복잡해서 많은 분들이 이해하기 어려워하는데요.
오늘은 유족연금 금액 계산법을 최대한 쉽게풀어서 설명해 드릴게요!
✅ 유족연금이란?
유족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했을 때, 남겨진 가족이 받을 수 있는 연금이에요.
📌 누가 받을 수 있을까요?
배우자, 자녀, 부모, 손자녀, 조부모 순으로 우선순위가 정해져 있어요.
📌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
유족연금은 가입자의 가입 기간과 소득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데요, 지금부터 실제 금액이 어떻게 산출되는지예제를 통해 알려드릴게요!
✅ 유족연금,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유족연금은 기본적으로 가입자의 가입 기간과 평균 소득월액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순히 일정 금액이 정해진 게 아니라 여러 가지 요소가 반영되죠.
📌 연금액 산정 공식
연금액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1.8*(A+B)*P2/P+...+1.2*(A+B)*P23/P} x (1+0.05n/12) x 지급률
👉 공식이 좀 복잡해 보이지만, 차근차근 해석해 볼게요.
변수 | 의미 |
A | 연금수급 전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 |
B | 가입자 개인의 가입기간 중 기준소득월액의 평균액 |
n | 가입 기간이 20년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개월 수 |
P2~P23 | 연도별 가입 월수 |
✔ A값: 연금수급 전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 (2025년 기준 3,089,062원)
✔ B값: 가입자 본인의 가입 기간 동안 기준 소득월액 평균
✔ 가입기간: 연금 납부한 개월 수
✔ 지급률: 가입기간이 20년 이상이면 기본 연금액의 60% 지급
쉽게 말하면 가입자의 평균 소득과 가입 기간이 길수록 더 많은 연금을 받을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유족연금의 금액은 사망한 가입자의 가입 기간과 평균 소득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래도 어렵죠?
✅ 유족연금 금액 산정 방법
유족연금의 금액은 사망한 가입자의 가입 기간과 평균 소득에 따라 결정됩니다.
복잡한 공식이 있지만, 이해하기 쉽게 예시를 통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예시: 월 소득 400만 원, 가입 기간 20년인 경우
월 평균 소득이 400만 원이고, 국민연금에 20년간 가입한 분이 사망하셨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경우 유족연금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 기본 연금액: 가입자의 평균 소득과 가입 기간을 고려하여 산정됩니다.
- 지급률: 가입 기간 20년 이상인 경우 기본 연금액의 60%가 적용됩니다.
- 부양가족 연금액: 부양가족이 있는 경우 추가로 가산됩니다.
이러한 계산을 통해 월 약 62만 8,160원의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금액 실제 예시 (2025년 기준)
연금액은 가입 기간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 2025년 기준으로 계산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가입 기간 | 연금 계산 기준 |
10년 미만 | 2025년 1월 가입 기준 |
10년 ~ 20년 미만 | 2011년 1월 ~ 2025년 12월 (15년) 가입 기준 |
20년 이상 | 2006년 1월 ~ 2025년 12월 (20년) 가입 기준 |
📌 하지만 주의할 점! 연금 수급 당시의 'A' 값과 재평가율이 적용되므로 실제 수급 금액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추가로 받을 수 있는 부양가족 연금
유족연금은 기본 금액 외에도 부양가족이 있으면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
부양가족 | 추가 지급액 (연 기준) |
배우자 | 300,330원 |
자녀 또는 부모 (1인당) | 200,160원 |
💡 예를 들어, 배우자와 자녀 2명이 있다면 300,330원 + (200,160원 × 2) = 700,650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어요!
✔ 배우자가 있을 경우: 연 30만 330원 (월 약 2.5만 원 추가)
✔ 자녀 또는 부모가 있을 경우: 1인당 연 20만 160원 (월 약 1.7만 원 추가)
💡 예를 들어 배우자와 자녀 1명이 있다면?
➡ 62만 8,160원 + (2.5만 원 + 1.7만 원) = 약 67만 원을 매월 받게 됩니다.
✅ 더 쉽게 계산하는 방법: 국민연금공단 유족연금 계산기 활용
예상연금 간단계산
노령연금 관련 유의사항 ① 연금액산정 : {1.245*(A+B)*P20/P+...+1.2*(A+B)*P23/P}(1+0.05n/12) x 지급률 A : 연금수급 전 3년간 전체 가입자의 평균 소득월액의 평균액 B : 가입자 개인의 가입기간 중 기준소득
www.nps.or.kr
📌 "이거 너무 복잡해!" 하시는 분들을 위해, 국민연금공단에서는 유족연금 예상금액을 자동 계산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국민연금공단 유족연금 예상 계산기에서 직접 입력하면, 본인의 예상 연금액을 확인할 수 있어요!
✅ 유족연금 지급액의 한도
유족연금은 기본적으로 가입자의 소득과 연금 가입 기간에 따라 결정되지만, 아래 두 가지 기준 중 더 낮은 금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1️⃣ 가입자 최종 5년간의 기준소득월액 평균
2️⃣ 가입기간 중 기준소득월액 평균을 재평가한 금액
쉽게 말해, 갑자기 연금액이 터무니없이 올라가는 걸 방지하는 안전장치라고 볼 수 있습니다.
✅ 2024년 ~ 2025년 기준소득월액
기준소득월액이란 국민연금에서 보험료 및 연금액 산정 시 적용하는 소득 기준인데요.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 적용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간 | 하한액 | 상한액 |
2024.07 ~ 2025.06 | 390,000원 | 6,170,000원 |
📌 제 생각으로는, 연금 계산이 복잡해서 많은 분들이 놓치기 쉬운 부분이 많아요.
특히 부양가족 추가 금액이나 최종 5년 소득 제한 같은 부분은 미리 알아두면 유족연금 신청할 때 더 유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연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무원연금 예상 수령액 계산 방법, 쉽게 정리! (0) | 2025.04.01 |
---|---|
유족연금과 국민연금, 중복 수령 가능할까? 완벽 정리! (0) | 2025.04.01 |
국민연금 유예 취소, 이렇게 하면 됩니다! (ft. 추납) (0) | 2025.03.28 |
2025 국민연금 소득대체율 43% 인상! 무엇이 달라질까? (ft. 계산방법) (0) | 2025.03.25 |
국민연금 개혁안, '더 내고 더 받기' 정말 괜찮을까? (ft. 보험료, 소득대체율) (0) | 2025.03.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