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트럼프의 상호관세 폭탄'…진짜 문제는 계산법보다 ‘이후’입니다 (+전망)

재테크 노마드 2025. 4. 5.

오늘은 경제 뉴스 중에서도 진짜 ‘핵심’만 콕 집어서 이야기해볼게요.
바로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전격 발표입니다.

솔직히 말해서, 관세 이야기는 딱딱하고 어려운 주제잖아요?
하지만 이번엔 좀 다릅니다.
“계산이 너무 이상하다!” “펭귄한테도 관세를?”
이런 말이 나올 정도로 뉴스가 쏟아졌거든요.

그래서 오늘은 단순히 뉴스 정리만 하지 않겠습니다.
👉 왜 이런 일이 벌어졌는지, 우리한테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제 개인적인 해석과 견해까지 같이 정리해드릴게요!


📉 갑작스러운 폭락…상호관세 발표 후 세계 증시는 '패닉'

코스피지수-그래프
코스피지수-그래프

먼저 숫자부터 보고 갈게요. 정말 충격적입니다.

시장지수 변동
뉴욕 나스닥 -6% (코로나 이후 최악)
코스피 2,500선 붕괴
일본 닛케이 35,000선 붕괴
유럽 주요 지수 -4%대 하락

무려 하루 만에 뉴욕 증시에서만 시총 3조 1,000억 달러 증발.
이 정도면 진짜 '공포의 밤'이었죠.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이번엔 단순한 '무역 마찰' 문제가 아니라, 시장이 "이건 예고 없는 폭탄"이라고 느낀 것 같아요.
예측 불가능한 정책이 경제에 가장 큰 악재라는 걸 다시 한 번 보여준 사례라고 봅니다.


🤯 “이게 계산이 맞아?”…트럼프식 주먹구구 관세율

 

 

 

한국에 상호관세 26%…트럼프, 무역질서를 파괴하다

( ☞한겨레 뉴스레터 H:730 구독하기. 검색창에 ‘한겨레 h730’을 쳐보세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2일(현지시각)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한국산 제품에 관세 26%를 물리는 등 주요 무역

www.hani.co.kr

 

이제 본격적으로 말 많았던 ‘계산법’ 얘기로 가볼게요.

트럼프 대통령은 이렇게 말했죠.

“한국은 상호관세율 25%!”

그런데 이 25%, 도대체 어떻게 나온 걸까요?
미국 무역대표부(USTR) 자료를 보면… 계산식은 생각보다 단순합니다.

👉 상호관세율 계산 공식 (트럼프식)

  • 미국의 대(對)국가 무역적자 ÷ 수입총액 = 결과값
  • 이 결과의 절반이 상호관세율

예를 들어 한국은 무역적자 660억 달러 ÷ 수입 1,320억 달러 = 50%
그 절반인 25%가 한국 상호관세율!

이걸 보고 제 첫 반응은요…
“이건 수학이 아니라 정치다” 였어요.

📌 참고: 주요국 상호관세율 비교

국가 상호관세율 특징
한국 25% FTA 체결국 중 최고 수준
중국 34% 계산법 그대로 맞춰짐
호주·칠레·싱가포르 10% 동일 FTA 체결국인데 낮은 수준
허드 맥도널드 제도 10% 무인도, 펭귄 서식지…실화냐?

👀 심지어 펭귄만 사는 무인도에도 관세를 매긴 걸 보고, 진짜 정책이 아니라 밈(meme)처럼 느껴졌어요.
무역정책을 짜면서 무인도까지 포함시키는 건... 누가 봐도 설득력이 떨어집니다.


🎙️ 기자회견 내용도 ‘팩트체크’ 해보니 오류 투성이?

 

 

도널드 트럼프

트럼프 전 대통령의 말 중 ‘사실과 다른’ 부분이 꽤 많았습니다.

🧾 대표적인 팩트체크:

  • “미국의 對캐나다 무역 적자는 2,000억 달러다” → 실제는 357억 달러
  • “중국은 나 전엔 단 한 푼도 관세를 안 냈다” → 미국은 1789년부터 부과해옴
  • “한국 자동차 시장은 비관세 장벽 때문” → 한국은 미국산 차에 관세 없음, 오히려 미국이 한국산 픽업트럭에 25% 관세

국제무역에서 이런 ‘부정확한 팩트’는 시장을 불안하게 만들고, 예측 가능한 투자 환경을 해치게 됩니다.

한 마디로 말하자면,
💥 “정책 리스크” 그 자체죠.


🏭 우리 기업들에 닥친 현실적 타격은?

 

 

가장 걱정되는 건 우리 기업들의 ‘해외 생산기지’가 직접적인 타격을 입는다는 겁니다.

📦 주요국 상호관세율 및 국내 기업 영향도

국가 관세율 국내 기업 진출
베트남 46% 삼성, LG, 의류 OEM
인도 26% 삼성, LG
캄보디아 49% 신발·완구 등 제조업

여기서 중요한 건 뭐냐면요,
👉 이 나라들 대부분이 미국 기업의 생산기지이기도 하다는 점.

예: 애플도 아이폰의 90%를 중국에서 생산합니다.
중국은 34% 관세 + 기존 20% → 총 54%
삼성은 베트남에서 46% → 상대적으로 유리하죠.

🧠 제 생각엔, 이건 단순히 우리 기업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미국 기업들도 자기 무릎에 총을 쏘는 격입니다.


💸 소비자 부담도 현실화…제품값 줄줄이 오를 가능성

이쯤 되면 일반 소비자도 불안해질 수밖에 없어요.
관세가 높아지면?

📈 “가격이 오릅니다. 아주 빠르게.”

📌 예시: 닌텐도 스위치2

  • 생산국: 베트남·캄보디아
  • 미국 상호관세 적용 시 예상가: 최대 670달러 (약 100만 원!)

이번 조치로 기업 이익은 줄고, 소비자 가격은 오르고,
수출국은 혼란스럽고, 수입국은 분노합니다.

솔직히 이건 '누가 이득을 보는지도 애매한 정책'이죠.


📦 끝이 아니다…반도체·의약품에도 별도 관세?

그리고 마지막으로 중요한 소식!
트럼프는 “반도체, 의약품도 곧 관세 부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이건 진짜 심각합니다.

왜냐고요?
📌 우리나라 수출 1위 품목이 반도체이기 때문이에요.

이게 현실화되면 또 한 번 증시 충격이 올 수밖에 없습니다.
제 생각엔, 이번 발표는 단순한 관세 폭탄이 아니라,
트럼프의 경제 관념이 ‘전 세계 공급망’을 다시 흔들겠다는 신호탄이라고 느껴집니다.


✅ 마무리하며: 지금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정리하자면요,

  • 트럼프식 상호관세는 ‘경제논리’보다 ‘정치논리’에 가깝다
  • 계산법조차 납득이 어렵고, 전 세계 시장에 혼란을 야기
  • 우리나라 기업들은 당장 영향권에 들어갔고, 향후 더 큰 타격 예상

💡 제 생각은 이렇습니다.

  1. 해외 생산 비중이 높은 기업 투자자분들, 지금 포트폴리오 재점검 필요해요.
  2. 일반 소비자들, 올해 수입 제품 가격 인상은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정부와 기업들, 공급망 리스크 분산 전략을 서둘러야 합니다.

댓글